2024년 장마기간은 제주도에서 6월 20일경 시작되어 남부지방에서는 6월 25일경, 중부지방에서는 6월 29일경 시작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번 장마는 평년보다 늦게 시작하고 짧게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을 것으로 보입니다. 언제까지 비가 내리는지에 대한 정보도 같이 확인하겠습니다.
장마 예측
2024년 제주도의 장마는 6월 20일부터 7월 20일까지, 전라 지역은 6월 25일부터 7월 25일까지, 영남 지역은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강원 지역은 7월 5일부터 8월 5일까지, 서울과 충청 지역은 7월 10일부터 8월 10일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평균적으로 약 15~16일간 비가 내릴 것으로 보입니다.
지역 | 장마 시작일 | 장마 종료일 | 예상 장마 기간 |
제주도 | 6월 20일 | 7월 20일 | 30일 |
전라도 | 6월 25일 | 7월 25일 | 30일 |
경상도 | 7월 1일 | 7월 31일 | 30일 |
강원도 | 7월 5일 | 8월 5일 | 31일 |
서울 / 충청도 | 7월 6일 | 8월 10일 | 35일 |
장마의 원인과 특징
장마는 여름철 동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는 장기 강수 현상으로, 습한 남서풍과 북쪽의 차가운 공기가 만나 형성된 정체전선이 원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서 시작해 남부지방, 중부지방 순으로 장마가 진행되며, 이 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약 30일에서 35일간 비가 내립니다.
2023년 장마와 비교
2023년 장마는 제주도에서 6월 25일, 전라에서 6월 29일, 영남에서 7월 1일, 강원에서 7월 3일, 서울과 충청에서 7월 5일에 시작되어 각각 32일, 43일, 31일, 43일, 39일간 지속되었습니다. 이와 비교해 2024년 장마는 전체적으로 늦게 시작하고 기간도 짧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장마 기간 중 예상되는 피해와 대비 방법
장마 기간 동안 비로 인해 산사태, 홍수, 농경지 침수 등의 자연재해와 경제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불쾌지수와 곰팡이 번식, 식물의 과습 문제 등이 주요 문제로 지적됩니다. 장마철에는 침수 피해, 하천 범람, 농경지 침수, 돌풍과 천둥·번개로 인한 사고, 교통사고 예방 등을 위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중부지방의 폭염 대비
중부지방에서는 장마 대신 폭염이 예상되며,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아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수분 보충 등의 건강 관리가 중요합니다. 폭염 대비를 위해 각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결론
2024년 장마는 평년보다 늦게 시작하고 짧게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대비가 필요합니다. 특히 중부지방에서는 폭염이 예상되므로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준비가 중요합니다. 장마철 자연재해와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철저한 사전 준비와 지속적인 경각심이 요구됩니다.
'날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마철 에어컨 냉방비 아끼는 법(제습기능 활용) (0) | 2024.07.24 |
---|---|
장마철 샌들 관리법, 샌들 추천 (0) | 2024.07.23 |
장마철 신발 말리기, 관리 방법 (0) | 2024.07.22 |
장마철 수건 세탁 쉰냄새 안나게 하는 방법 (0) | 2024.07.18 |
장마철 비행기 결항 기준 확인 (0) | 2024.07.16 |